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41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임시조치, 문의:
[email protected]
왁타버스 내 기형적 노동구조 내부고발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ACL에 허용 규칙이 없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떡밥위키]][[분류:이세계아이돌]][[분류:왁타버스]] [include(틀:떡밥위키 오리지널)] 맨 밑에 요약 있음. [목차] == 개요 == 본 문서는 작업계[* 왁타버스 내 분류. 창작자들을 일컫는다.]에 있던 한 [[탈짱]]의 제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제보자 자신은 신경 안쓴다고는 했지만, 제보자의 신상털이나 보복, 간접적 피해를 우려하여 자료 중 민감한 부분들은 마스킹 처리되었다. 닉네임 길이를 통한 추산을 막기 위해, 마스킹된 특정 부분을 옮겨 작성하였음을 밝힌다. [[#요약|요약]]에 한줄요약 및 세줄요약이 있으니 보고도 이해가 안된다면 요약을 보도록 하자. == 전개 == 제보자는 [[https://namu.wiki/w/동화(애니메이션%20용어)|동화]], 그러니까 3D가 아닌 부분에서의 그림 작업과 애니메이션을 담당한 작업자로, 애니메이션 관련 학과 출신이다. === 고세구 홍련화 커버 애니메이션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9497c><nopad> [youtube(uG91iq0AzKM)] || ||<bgcolor=#e9497c><color=#fff> '''[MV] 귀멸의 칼날OP - 홍련화(紅蓮華) |Cover by 고세구'''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9497c><nopad> [youtube(O6WzbHymvDg)] || ||<bgcolor=#e9497c><color=#fff> '''홍련화 제작 과정 공개''' || 2022년 고세구가 1년[* 즉, 1년 기간의 페이를 몰아서 받았다. 아래 참고.]동안 제작한 귀멸의 칼날 OST 홍련화 커버로, 고세구가 자기 채널에서 제작 과정 비하인드를 방송하기도 했다. >일반적으로 방송 네임드들이나 팀장 경력 많은 고참들이 카페로 인력 모집 공고를 내고 자기랑 작업 같이 하는 사람들 ( 일종의 사단 ) 모아서 팀을 만듬. 그 다음 이세돌들한테 기획을 보여주고 노래를 녹음한 다음 디코방을 통해 진행상황을 공유함. 커버곡 같은 대형 프로젝트들은 참여 인력이 매우 많기에 팀을 나눠서 자기 할 일만 하게 시키는 경우가 많음. 그래서 한 쪽 팀이 다른 쪽 팀 상황을 잘 모르기에 제작과정에서 마찰이 일어날 때도 있음. 어쨌든 이렇게 제작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모든 정보가 엠바고가 걸려서 우왁굳은 물론 이고 다른 이세돌들도 완전히 모름. 티저 나올 때까진 알 수 없음. >사실 멤버들은 본인이 직접 팀 구하는 경우는 적고 조공팀이 낸 기획 받고 참여하는 경우가 많음. 그리고 이게 이세돌 정규 앨범이 커버곡 퀄을 못 따라갈 수 있는 이유임. 커버곡 만큼의 퀄리티를 내려면 수많은 인력과 기술력을 갈아넣어야 하는데 이걸 돈으로 환산하면 수천만은 기본으로 넘고 억대로 넘어갈 수도 있음. 이걸 오로지 팬심으로 비비는 거니 퀄리티가 미쳐 돌아가는 거지. 정규 앨범은 다 돈내야 해서 이 정도 퀄을 만들기 힘듦. >팬들이 해놓고 멤버들한테 던져 주는 경우도 아예 없진 않은데 보통은 그런 식은 아니고 >이세돌 멤버가 기획하고 왁물원 이용해서 인력 모집 하는 방식이 기본임. 그 모집하는 인력들이 팬인거지. >이게 이세돌이 모집한다는걸 잘 모를 수 밖에 없는게, 예를들어 왁물원에 릴파가 언리얼 기술자 모집 합니다~ 이러면 뮤비 만드는줄 뻔히 아니까 직원들이나 다른 사람 이름으로 모집하기 때문. 그래서 작업 후기 보면 잡혀왔는데 알고보니 이세돌 뮤비더라...이런 경우 엄청 많음. >이번 홍련화도 고세구가 직접 기획/감독한거. >그리고 우왁굳한테는 어떤 곡 한다 정도는 알릴 때도 있는데, 필수는 아니라서 안 알려주고 깜짝 공개하는 경우도 많음. >일단 우왁굳은 이세돌 개인 커버곡 뿐만 아니라 개인 컨텐츠도 이미 거의 손 안댄지 오래됐음. 그냥 회의 때 이세돌들이 이번에 대충 이런거 해볼까 합니다 정도만 알려주는 정도. [[https://archive.md/tRNl1|홍련화 관련 글]]을 보면 알겠지만 본질적으로 ""쪽의 기형적인 제작 방식에 자체에서 기인한다. 고세구가 제작 공지를 올렸고, 제보자는 여기에 동화 제작으로 참여해 합격, 아래 메일을 받는다.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88bbd,#a88bbd><tablebgcolor=transparent><nopad>[[파일:작업계합격통보.png|width=100%]]|| 제보자는 [[고세구]]에게 '''장당 1500원'''으로 계약하였으나, 작업에 대해 정식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다.[* 제보자는 동화쪽 페이에 대해 정확히 몰랐기에, 인터넷에서 확인한 페이를 불렀다. 고세구 또한 이를 승낙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이마저도 후술할 문제 때문에 지켜지지 않았다.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88bbd,#a88bbd><tablebgcolor=transparent><nopad>[[파일:홍련화 초대.png|width=100%]]||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88bbd,#a88bbd><tablebgcolor=transparent><nopad>[[파일:홍련화.png|width=100%]]|| >'''고세구 22.5.3. 오전 2:49''' >안녕하십니까 A님! 고세구이빈다! >다름이 아니라 작업해주신 건에 대한 비용 관련 이야기인데요! 생각했던 예산에서 더 쓰이게 되면서 어쩔수 없이 바꾸다보니… 처음에 말씀 드린 가격에서 변동하게 되어 디코남기게 되었스빈다! > > A님의 경우 동화 작업을 부탁드리게 될 예쩡인데요 >그 부분에 대해서 보낼 장당 1500원이었던 작업이 장당 1000원으로 내려가게 될 것 같은데 혹시 괜찮으실지 여쭙게 되었스빈다!8ㅁ8 >예산 문제로 이렇게 여쭙게 되어 정말 죄송하빈다 ㅠㅠ 편하게 답장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계약 후, 고세구 측의 예산 책정 실패 문제로 인해 단가가 장당 1500원에서 '''1000원'''으로 약 33% 삭감되었다. 계약서를 받지 못한 프리랜서 형태의 계약[* 원천징수 대상 여부 확인이 필요하다.]이라 하더라도, 계약 후[*정정][* 이전 리비전에는 계약 전으로 서술되어 있었으나, 고세구의 디스코드 메세지에서 "작업해주신 건"의 시제 오류로 인한 혼동이다.] 일방적으로 급여를 삭감한 것이다. 제보자의 말을 인용하여, '''좆소는 돈이라도 주지, 동아리 수준으로 운영됨'''을 볼 수 있다. 작업 시작부터 정산까지는 약 1년이 걸렸다.[*정정 [[https://gall.dcinside.com/whyiblocked/140482]]][* 순수 작업기간이 1년인 것이 아니다.] 작업 후 최종적으로 입금된 페이는 '''고작 2만원이었다.''' ||<tablealign=center><tablewidth=500px><tablebordercolor=#a88bbd,#a88bbd><tablebgcolor=transparent><nopad>[[파일:페이.jpg|width=100%]]|| 해당 영상 제작에만 수십명의 인원이 동원되었고, 제보자뿐 아니라 관련 업계 인원도 다수 참여한 것이 확인되었다.[[https://archive.md/ps1yt|왁물원 홍련화 애니작업자 뭐지? (펨코)]] 일반적인 경우라면 인건비로 상당한 금액이 지출되어야 했다. [[https://archive.md/gSSSC|고세구 홍련화 이거 기업에서 제작했다고 생각해봐라 ㅋㅋ (스갤)]] 또한, 작업물 완성 후 모든 파일 제거를 요청받았다. === 징버거 봄도둑 커버 애니메이션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9497c><nopad> [youtube(p9TFQ9ySJLs)] || ||<bgcolor=#e9497c><color=#fff> '''봄도둑 春泥棒 ㅣ 징버거 COVER''' || 홍련화 작업이 끝난 이후, 제보자는 다른 징버거 커버곡 프로젝트에 스카우트 되었다. 기존 작업자들을 돌려쓰고, 무엇보다 멤버에 상관없이 끌어 사용했다.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88bbd,#a88bbd><tablebgcolor=transparent><nopad>[[파일:봄도둑 초대.png|width=100%]]|| 해당 작업은 '''무급'''으로 진행되었다.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88bbd,#a88bbd><tablebgcolor=transparent><nopad>[[파일:봄도둑업무.png|width=100%]]|| 제보자는 동화 원화 담당으로 참여했지만 시간이 촉박해지가 채색 작업까지 겸했다. 제보자가 인증을 위해 해당 MV의 작업물을 추가로 공개하였다.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88bbd,#a88bbd><tablebgcolor=transparent><nopad>[[파일:동화1.gif|width=100%]]||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88bbd,#a88bbd><tablebgcolor=transparent><nopad>[[파일:동화2.gif|width=100%]]|| === 릴파 귀멸의 칼날 애니메이션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88bbd,#a88bbd><tablebgcolor=transparent><nopad>[[파일:릴파 초대.png|width=100%]]|| 봄도둑 작업 이후, 제보자는 또다른 귀멸의 칼날 관련 릴파 애니메이션 프로젝트에 스카우트 되었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기존 작업자들을 끌어 사용했다.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88bbd,#a88bbd><tablebgcolor=transparent><nopad>[[파일:무급.png|width=100%]]|| >'''B 23.5.6. 오후 6:45''' >혹시 저희 작업에…페이가 있는걸로 알고계실까요…? >---- >'''A 23.5.6. 오후 6:52'''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 >'''B 23.5.6. 오후 6:53''' >아아 넵!! >C님께서 갑자기 페이를 원하셔가지고….. >이게 상황이 엄청 꼬여서… >---- >'''A 23.5.6. 오후 6:55''' >저는 봄도둑에서 와서 없는줄 알았는데 >홍련화는 있어서 그렇게 생각하신거 같아요. 당연히, 해당 작업도 '''무급'''으로 진행되었다. 작업 규모가 커 봄도둑 제작인원에서 끌어다 쓴 인원 말고도 다른 인원을 투입했지만 해당 신규 인원은 너무나도 당연하게 페이를 요구했고, 작업 진행에 갈등이 생기기도 했다. 수 개월간 진척을 보이지 않아 제보자는 런쳤고, 해당 프로젝트는 무산되었다. == 사견 == 본 제보를 통해 드러난 문제는 단순히 개인 간의 소통이나 페이 문제를 넘어서, 보다 구조적인 제작 환경의 문제를 반영하고 있다. 특히 계약 체계의 부재와, 상업 콘텐츠에서의 비상업 노동 활용은 창작자 권익 보호 측면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갖는다. 작업 조건과 임금 수준이 명확히 문서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이 진행되었으며, 작업 도중 조건이 일방적으로 변경된 사례는, 프리랜서 구조에서 종종 발생하는 문제이지만, 본 건은 그 중에서도 비교적 전형적인 사례라 볼 수 있다. 작업자와의 합의 과정이 문서 계약이 아닌 디스코드 메시지와 같은 비공식 경로에 의존한 점, 최초 제안과 다른 금액으로 지급된 점 등은 창작자가 자신의 노동 조건을 객관적으로 보장받기 어려운 구조를 보여준다. 이러한 사례가 반복될 경우, 업계 전반적으로 ‘문서 없는 계약’, ‘조건의 유동성’이 관행처럼 자리잡게 되며, 이는 노동의 안정성과 정당성을 저해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들 작업물이 상업적 성격을 띠고 있다는 점 역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커버 영상은 수익과 직결되는 컨텐츠로, 유튜브 수익은 물론, 팬덤 유입, 기업 협업 등 간접적 경제적 가치도 상당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핵심 시각 요소를 담당한 동화 작업자가 무보수 혹은 극히 적은 보상만을 받은 점은, 상업 콘텐츠 내 무급 노동이 어떻게 정당화되고 있는지 보여준다. 이는 결국, 창작자가 콘텐츠의 가치를 창출함에도 불구하고, 그 가치를 수취할 권리에서는 배제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팬과 함께 만든다’는 명목이 창작자의 권리를 희석시키는 수단으로 작용한다면, 이는 장기적으로 업계의 신뢰도와 지속 가능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정당한 보상은 단순히 개인의 권리 보호를 넘어서, 창작 생태계 전체의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다. 특히 커뮤니티 기반의 창작 환경에서는, 명확한 계약과 보상 구조를 마련하는 것이 상호 존중과 신뢰를 위한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 요약 == === 한 줄 이상 못 읽는 분들을 위한 한 줄 요약 === 1. 작업 시스템 개판임. === 세 줄 이상 못 읽는 분들을 위한 세 줄 요약 === 1. 홍련화 페이 일방적으로 삭감됨. 1. 후속 프로젝트는 무보수로 진행됨. 1. 열정페이로 동아리 수준으로 운영함.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41)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41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